슬로우 라이프/상식

누구냐 넌? 한국이 끝났다고? - SOUTH KOREA IS OVER

욱대장 2025. 4. 7. 14:35
728x90
반응형

SOUTH KOREA IS OVER

https://youtu.be/Ufmu1 WD2 TSk? si=NF9 L8 L1 VgEbrEM-L

 

“South Korea is Over(한국은 끝났다)”는 독일 기반 과학 유튜브 채널 ‘Kurzgesagt – In a Nutshell’이 2025년 4월 2일에 업로드한 영상으로, 한국의 극단적인 저출산 문제와 그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붕괴 가능성을 다룬 콘텐츠입니다. 한국의 극단적인 저출산 문제와 인구 고령화 위기를 다루며, 현재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한국 사회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붕괴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이 영상은 한국의 인구 감소 위기가 초래할 미래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현재의 낮은 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한국 사회는 경제, 사회, 문화, 군사적으로 심각한 붕괴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2060년에는 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경제 시스템 유지에 필요한 노동력 부족, 사회 서비스축소, 문화적 전통단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의 감소는 사회 활력 저하와 혁신 능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며, 인구 구조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출처:https://lilys.ai/

 

1. 한국의 인구 감소와 그 영향

출처:www.youtube.com/@kurzgesagt
  • 한국은 인구 감소 위기로 경제, 사회, 군사 등 전면에서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
  • 2060년에는 현재 우리가 아는 한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 인구 안정화를 위해서는 여성 1인당 출산율이 약 2.1명이어야 하나, 2023년에는 0.72명으로 역사적으로 가장 낮다.
  • 서울의 출산율은 평균 0.55명으로 절반 이상의 여성은 자녀를 가지지 않으며, 나머지 절반은 1명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
  • 출산율저하의 결과로, 네 세대 후에는 100명의 한국인이 5명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2. 한국의 인구 전망과 경제적 결과

출처:www.youtube.com/@kurzgesagt
  • UN의 인구 예측은 저출산 시나리오가 최근 몇 년간 가장 정확했으며, 2022년에서 2023년 사이 한국의 출산율은 8% 감소했다.
  • 2060년까지 한국의 인구는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1600만 명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한국의 사회는 고령화되어 절반이 65세 이상이 될 것이며, 어린이 비율은 1%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 출산율저하로 인해 경제적 충격이 불가피하며, 40%의 65세 이상 노인이 현재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 한국의 연금 기금은 7300억 달러 규모에 이르지만, 2040년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2050년에는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2060년에는 한 명의 직장인이 노인을 부양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3. 한국 경제의 위기 상황

출처:www.youtube.com/@kurzgesagt

  • 노인층의 빈곤이 일반화될 것이며, 많은 이들이 일을 해야 하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 2060년까지 한국의 경제는 37백만에서 17백만으로 근로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비록 개인의 생산성은 증가하겠지만, 한국의 GDP는 2040년대에 정점을 찍고 이후 경제적 침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 정부는 세수 감소로 인해 필수 서비스를 축소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할 것이다. 
  • 이러한 경제적 위기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4. 한국 사회의 붕괴 징후

출처:www.youtube.com/@kurzgesagt

  • 현재 한국에서 20%의 인구가 혼자 살고 있으며, 같은 비율로 가까운 친구나 가족이 없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 70세 한국인의 절반이 형제 없이, 30%는 자녀 없이 살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 25세에서 35세의 젊은 성인은 단지 5%의 인구에 불과하고, 이들은 형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
  • 이러한 상황은 노인들에게는 가까운 가족이 거의 없게 하고, 젊은 세대에게는 친구가 부족하게 만들어 외로움의 전염병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2060년경, 25세에서 45세의 한국 인구는 5.6백만 명으로 줄어들고, 이는 전체 인구의 16%에 해당한다.

5. 인구 감소의 심각성

출처:www.youtube.com/@kurzgesagt

  • 한국의 출산율이 임시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인구 구조의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 한국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2060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자에 비해 일하는 성인 인구가 극단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 사회는 높은 교육비비용이 높은 주거비 등으로 인해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이 큰 상황이다. 
  •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결혼 문화로 인해 미혼모의 출산 비율이 낮고, 남성들이 가사 및 육아에 적게 참여해 여성에게 더 많은 부담이 지워지고 있다. 
  • 이러한 여러 요인들로 인해 한국은 저출산 문화가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이는 단순한 문제로 끝나지 않는 심각한 사회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영상은 업로드 후 단시간 내에 조회수 200만 회 이상을 돌파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고, 국내외에서 한국의 미래를 걱정하는 논의를 촉발했습니다. Kurzgesagt는 이전에도 2023년에 “Why Korea is Dying Out(한국은 왜 망해가나)”라는 영상을 통해 비슷한 주제를 다룬 적이 있어, 한국의 인구 문제를 지속적으로 주목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이 채널은 과학적 데이터와 통계를 바탕으로 주제를 탐구하며, 감정적이거나 과장된 표현보다는 분석적인 접근을 취하는 스타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 망했다”라는 표현은 영상 제목의 도발적인 뉘앙스를 반영한 것이지, 채널 자체가 한국을 비판하거나 폄하하려는 의도는 아닌 것으로 해석됩니다. 오히려 글로벌 문제로서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려는 목적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